세종대왕께서 글이 없어 자기 뜻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 하는 백성들을 위하여 28 글자를 만들어 세상의 모든 소리와 뜻을
전할 수 있게 한 것처럼, 인공지능에서 다루는 데이터들인 의 7종류와, 인공지능이 하는 태스크(Task) 4종류를 조합한
28가지의 표준 케이스를 T3Q.ai 인공지능 · 빅데이터 통합플랫폼에 탑재한 것을 AI훈민정음이라고 합니다.
- 7가지 데이터 -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위성, 로그/수치, 바이너리
- 태스크(Task) 4종류 - 회귀(Regression), 분류(Classification), 이상탐지(Anomaly Detection), 군집화(Clustering)
AI훈민정음을 구성하는 T3Q.ai 플랫폼과 기본 28가지 케이스를 이용하면, 따라하기 방식으로 남여노소 누구나 쉽게 AI를 배우고,
이들 케이스를 기반으로 개인, 기업, 기관에서는 인공지능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쉽게 AI 서비스를 발굴하며, 서비스가 발굴되면
해당케이스를 기반으로 AI 서비스의 쉬운 개발이 가능합니다.
또한, T3Q.ai 플랫폼 사용자는 AI훈민정음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생산하고 이를 판매할 수도 있기 때문에, 소비자이자 생산자로서
이익을 공유하는 가치 사슬을 구성하여 인공지능 생태계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전국민의 AI 접근성 및 활용성 향상을 통한 지식 격차 해소
- 군 장병의 복무기간 중 맞춤형 인공지능 • 소프트웨어 교육 계획
- 각급학교의 인공지능 교육 및 교원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
- 정부의 인공지능 인력 양성 및 디지털 뉴딜 등 정책 사업에 활용
- 중기부의 중소벤처 제조 플랫폼에 적용하여 제조업 경쟁력 강화
- 닥터앤서 등 의료 플랫폼으로의 확장을 통해 AI 의료 서비스 제공